분야 인기글 >

보테가 베네타 돌(Doll) 백에서 찾는 차별화 공식

조회수 1769

보테가 베테가 가 사첼백 형태의 보테가 돌(Doll)백을 내놓았습니다. 이름 그대로 인형을 모티브로 해서 보테가 베네타의 품격, 고가 이미지와는 반전 매력을 주고 있습니다.  백 전체 모양을 보면 보테가의 시그니처 V 로고를 재해석해서 전통의 계보를 이으면서도 오버사이즈 패딩 처리된 삼각형의 프론트 플랩을 두어서 차별화를 완성하고 있죠. 



눈에 띄는 금속 하드웨어가 없는 스타일은 어떤 룩에도 섬세한 터치를 제공하며 자석 잠금 장치를 통해 고정하는 것이 이번 작품의 개요입니다. 8개의 가죽을 장인의 손으로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동일한 컷을 사용하여 만든 가방의 손잡이와 덮개가 가방을 완성하는데 이런 형태를 사첼 가방이라고 부르죠. 

사첼 (Satchel) 가방은 끈이 달린 보통 학생가방 같은 형태를 뜻합니다. 스트랩은 어깨에서 직접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반대쪽 엉덩이에 가방을 걸고 몸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도록 착용하는 경우가 많죠. 전통적으로는 사첼 가방은 책을 넣는 책가방형태로 많이 쓰여왔습니다. 가방의 뒷면은 위쪽을 덮기 위해 접혀서 앞쪽으로 와서 고정 플랩으로 잠기는 형태입니다. 명품들도 사첼 가방형태를 많이 만들어왔죠. 대표적인 사첼백은 명품 브랜드 멀버리가 유명 모델 알렉사 청과 만든 알렉사 백 (alexa bag) 입니다. 멀버리의 시그니처 백 중의 하나로 대접받고 있죠.서류가방과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서류의 구김이 없어야 하기때문에 딱딱한 반면 사첼은 양면이 부드럽다는 데 있습니다. 

< 멀버리 알렉사 백 (source : www.mulberry.com) >

보테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다니엘 리(Daniel Lee)가 선보이는 그간의 전통과는 새삼 다른 새로운 형태의 백입니다. 가방 바닥은 안정감을 주기 위해 가죽으로 덮인 리벳으로 고정되어 형태를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예술적인 마무리를 위해 안에 숨겨져 있습니다. 실제로 금속 조각이 전혀 보이지 않는 디자인이라, 금속 하드웨어가 종종 럭셔리 브랜드가 액세서리의 모티브를 정의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요소임을 고려할때 반대로 차별화의 길을 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테가 베네타는 종종 이런 전략을 적용하죠. 로고가 없는 것도 그렇구요. 

보테가 베네타 가 자신들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어떻게 차별화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보테가 베네타 돌백에서 찾는 차별화 공식 > 

1. 예술에서 키를 찾아라 : 살아있는 최고의 여성미술가 중의 한명으로 매번 꼽히는 독일의 작가 Rosemarie Trockel에게 영감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수혈했습니다. 

2. 제조상의 강점은 이어가되, 색다른 기법을 적용하여 차별화하라 : 보테가의 장인은 일반적으로 쓰던 악어 무늬의 가벼운 송아지나         에나멜 가죽을 사용했지만 일련의 주름과 접기를 통해 인형의 모양을 완성하여 마치 종이 접기를 한 것 같은 동화적 느낌을                  부여함으로써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특징을 만들어냈습니다. 

3. 다른 브랜드가 모두 쓰는 것은 과감하게 배제하라 : 일반적으로 백에서 공식이다 시피한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로고나 금장, 같은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가 핸드백을 그저 전체의 형태로 감상하고 받아들이도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4. 과감하게 다운스트림에서도 아이디어를 구하라 : 책가방등에 사용되는 사첼 구조 (앞이 덮이는 형태)를 고가백에 과감하게 채용해        낯섬과 특이함을 부여하였습니다.  




* 본 내용은 해당 브랜드로부터 어떠한 지원이나 협찬도 받지 않았습니다.


#하이엔드데일리 # 보테가 베네타 # 보테가베네타돌 #사첼백 # 차별화공식 #알렉사청 


by. Daisy


[저작권자 ⓒ하이엔드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타 분야 인기글 보기 >